https://codesmoothie.tistory.com/30 [React] Render의 진짜 의미와 동작 원리 https://codesmoothie.tistory.com/29 [React] Component가 Instance, Element로 변화는 과정 Component 리엑트에서 컴포넌트(Component)는 UI 블럭(조각)을 기술(설명)하는 곳이다. 컴포넌트는 정규 자바스크립트 함수로 이 codesmoothie.tistory.com 지난 포스팅 '[React] Render의 진짜 의미와 동작 원리'에서 연결되는 글입니다. State의 메카니즘(Mechanics)에 대한 잘못된 상식 React에서 랜더링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기 전에 먼저 State의 메카니즘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반적으로 화..
https://codesmoothie.tistory.com/29 [React] Component가 Instance, Element로 변화는 과정 Component 리엑트에서 컴포넌트(Component)는 UI 블럭(조각)을 기술(설명)하는 곳이다. 컴포넌트는 정규 자바스크립트 함수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해당 함수는 최종적으로 React Element를 return하고 Tre codesmoothie.tistory.com 해당 글은 "[React] Component가 Instance, Element로 변화는 과정" 포스팅에서 연장되는 글입니다. 이해되지 않는 개념이 있다면 앞선 블로그를 정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학습 영역 지난 포스팅에서 Component와 인스턴스 생성 그리고 그것이 화면의 UI로 ..
Component 리엑트에서 컴포넌트(Component)는 UI 블럭(조각)을 기술(설명)하는 곳이다. 컴포넌트는 정규 자바스크립트 함수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해당 함수는 최종적으로 React Element를 return하고 Tree를 구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JSX 문법으로 이러한 element를 작성하게 된다. 컴포넌트는 청사진 또는 템플릿에 가깝다. 하나의 템플릿(컴포넌트)으로 리엑트는 1개 또는 그 이상의 컴포넌트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다. Component Instance React는 컴포넌트를 사용할 때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만약, Tab이라는 컴포넌트를 1번 정의하고, 3번 사용했다면 컴포넌트 트리에 3개의 인스턴스 트리를 구성하게 된다. 즉, 컴포넌트 인스턴스는 함수로 작성한 코드..
트러블 이슈 코드 번들링 사이트를 만들던 중 버그가 발견 되었다. 아래 이미지를 보면 왼쪽 검은색 영역이 코드를 작성하는 부분이고, 오른쪽 흰색은 그 코드의 결과가 나오는 화면이다. 그런데 새로고침을 할 때마다 흰색 영역이 한 번 검은색으로 깜빡 거리는 현상이 있었다. code-cell.tsx (코드 결과를 보여주는 React Component) import './code-cell.css';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import CodeEditor from './code-editor'; import Preview from './preview'; import Resizable from './resizable'; import { Cell } from '../state';..